4월 3일 월요일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 여야 모두 차기 원내사령탑 선출을 앞두고 물밑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새 원내대표는 당내 통합을 도모하면서 동시에 산적한 민생 현안에 대한 협치를 이끌어내야 하는데요. 소속 의원들의 표심이 어디로 향할지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 오늘부터 사흘 동안 국회의 대정부 질문이 진행됩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첫 거부권 행사가 될 것으로 보이는 양곡법 개정안과 한일 정상회담 등을 둘러싸고 여야의 충돌이 예상됩니다.
● 2분기 전기와 가스 요금을 올릴지 말지 정부와 여당이 여론을 의식해 한 차례 미룬 상태죠. 어제2일는 요금 인상이 늦어질 때 발생할 문제점을 점검하는 회의가 시작 50분을 남기고 갑자기 취소되기도 했습니다. 오는 6일 전기요금 인상과 관련해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민, 당, 정 간담회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이 미국 핵 추진 항공모함 니미츠호가 참가하는 3국 해상훈련을 오늘부터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미일 연합훈련과 오늘 마무리되는 한미 연합상륙훈련인 쌍룡훈련 등을 핑계로 북한이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국제박람회기구, BIE 실사단이 2030 세계박람회 개최를 신청한 부산을 실사하기 위해 방한했습니다. 5박 6일 동안 진행되는 평가는 부산 엑스포 유치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대통령실은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면서 윤석열 대통령도 충분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한 카페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정당화해온 유명 군사 블로거 한 명이 숨지고 25명이 다쳤습니다. 현지 수사 당국은 강력한 폭약인 TNT 200g 이상이 터지면서 폭발이 일어났다고 밝혔습니다.
● 성추문 입막음 의혹으로 재판에 넘겨진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모레 법원에 처음 출석합니다. 트럼프 기소를 두고 여론이 극명하게 갈리는 상황에서, 트럼프의 지지율이 오히려 상승했다는 여론 조사도 나왔습니다. 실제 대선의 승패를 가를 중도층 표심에 어떻게 작용할지는 재판 결과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 주요 산유국 협의체가 하루 116만 배럴 규모의 자발적 감산을 예고했습니다. 시장 안정을 위한 결정이라지만 미국은 이에 반대하고 있어서 갈등이 예상됩니다. 물가 상승을 막고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원유 판매 수익을 제한하기 위해 산유국들에 대해 증산을 요구해왔기 때문입니다.
● 휴대전화를 개통해 업자에게 넘기고 급전을 마련하는 이른바 내구제 대출이나 폰테크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빌린 사람은 결국 엄청난 빚과 범죄에 연루되는 불법 대출인데, 피해자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사회초년생이나 취업준비생 등 절박함에 내몰린 피해자들의 심리를 악용합니다.
● 단속카메라 앞에서만 잠시 속도를 줄이고, 다른 데선 과속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늘부터는 주의하셔야 합니다. 경찰은 암행 차량 뿐 아니라 순찰차에도 단속 장비를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단속 장비에 자동으로 차량 번호와 속도가 기록되고 단속 정보는 곧바로 경찰서로 전송됩니다. 범칙금을 고지하기 위해 굳이 차량을 세울 필요가 없는 겁니다.
● 국내 기업들이 최근 사용자가 늘고 있는 AI 챗봇 챗GPT로 보안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지난달 챗GPT 접속을 허용했던 삼성전자는 일부 임직원이 반도체 관련 프로그램을 챗GPT에 입력한 사례가 적발되면서 사용을 허용할지 여부를 놓고 고심하고 있고, SK 하이닉스는 지난 2월 공지를 통해 챗GPT의 접속을 사실상 차단한 상태입니다.
● 휴일인 어제 충남 홍성과 대전을 비롯한 전국 34곳에서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밤샘 진화 작업이 이어졌습니다. 산림 당국은 어두워져 철수했던 소방헬기를 날이 밝는 대로 다시 투입하기로 했고, 홍성지역 3개 학교는 오늘 하루 휴업에 들어갔습니다.
● 임종환자가 연명 의료 행위를 중단하고 숨지는, 이른바 존엄사는 2018년 2월 연명의료법이 시행되며 가능해졌는데요. 지난해 말까지 26만여 명이 존엄사를 선택했고, 건강할 때 미리 존엄사를 서약하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 인구도 157만여 명에 달했습니다.
●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은행 점포 수를 분석해 보니 고령자가 많은 곳일수록 은행 점포는 더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령자 비중이 높은 곳일수록 수익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한 은행들이 앞다퉈 점포를 줄여나간 것으로 풀이됩니다.
● 완연한 봄 날씨에 입맛 돋는 봄나물 찾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먹기 전 반드시 깨끗하게 씻어야야겠습니다.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이 경기도 공영 농수산물 도매시장과 대형 유통매장에서 판매되는 봄나물 19개 품목, 215건을 조사했는데요. 쑥과 돌나물, 민들레 3건에서 기준치를 넘는 잔류 농약이 검출됐습니다.
● 예산시장이 한 달여간의 재정비 기간을 거쳐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예산군은 재개장 첫날에만 1만5천여 명의 관광객이 몰렸다고 밝혔습니다. 외식 경영 전문가 백종원 씨가 창업 지원에 나선 예산시장은 지난 1월 개장한 뒤 18만 명이 방문하는 등 인기를 끌었지만, 주차난과 시설 문제 등으로 재정비 기간을 가졌습니다.
● 전세 기간이 만료됐는데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임차인들은 오늘부터 전국 17개 광역시청과 도청에서 전세 피해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사할 때 전세 피해확인서를 은행에 제출하면 연 1∼2%대의 낮은 금리로 전세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암은 치료를 일찍 시작할수록 생존률이 높아지는데, 조기 발견은 그리 쉽지 않습니다. 특히 여러 암을 한 번에 진단하는 방법이 없어 각 장기에 대해 일일이 정밀 촬영과 조직검사를 해야만 진단이 가능한데, 국내 연구진이 피 몇 방울로 1시간 만에 6가지 암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 오늘도 전국 대부분 지역에 건조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고온 건조한 바람이 불면서 산불 위험이 크겠습니다. 내일 늦은 오후부터 제주도를 시작으로 중부지방 등에 단비가 예보됐는데 적지 않은 양이 내릴 것으로 보여 메마른 대기가 해소될 전망입니다.
출처 : 간추린 아침뉴스
■ 최고 화제 뉴스 Top 10
1위. 文정부, 최악가뭄 예고에도 보 열어...光州시민 40일치 물 없앴다 (댓글:2859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55478?ntype=RANKING
2위. 윤 대통령이 위기 때마다 찾는다, 서문시장이 뭐길래 (댓글:2046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634019?ntype=RANKING
3위. 벚꽃축제는 미친 짓…팻말 들고 호수공원 등장한 남성 (댓글:1809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174204?ntype=RANKING
4위. “4년째 백수, 밥 먹고 게임만 하는 남편…이혼은 싫은데 어떡하죠” (댓글:1744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174183?ntype=RANKING
5위. 윤석열 정부는 다르다더니···대통령도 당대표도 제주 4·3 추념식 불참 (댓글:1392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214680?ntype=RANKING
6위. “尹, 대구 시구는 가고 4·3 추념식은 안 간다? 文도 참석하는데” 민주 작심 비판 (댓글:1290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3798562?ntype=RANKING
7위. 문재인에 이재명까지…尹 불참 속 4·3 제주 희생자 추념식에 野 총결집 (댓글:1248개)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6722513?ntype=RANKING
8위. “文은 참석하는데…” 민주당, 尹 대통령 4·3 불참 비판 (댓글:1150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21/0002564518?ntype=RANKING
9위. [단독]“민노총 간부, 北에 내부망 아이디-비번도 보고” (댓글:1132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488964?ntype=RANKING
10위. 전광훈 “공천 다 잘라버려”…홍준표 “전광훈 숭배자면 교회로 가라” (댓글:1056개)
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633982?ntype=RANKING
■ 아파트 상승거래 Top 10(일주일 기준)
1위. [서울] 파크리오 26평 15.4억
(직전거래 23년02월 기준 +5.4억)
2위. [서울] 신부파스카빌 25평 6.6억
(직전거래 07년01월 기준 +4.7억)
3위. [경기도] 광명역푸르지오 34평 10.35억
(직전거래 23년02월 기준 +4.05억)
4위. [서울] 현대 34평 32.5억
(직전거래 20년12월 기준 +3.92억)
5위. [경기도] 아이파크분당1 60평 18.2억
(직전거래 20년06월 기준 +3.8억)
6위. [서울] 염리삼성래미안 42평 18.0억
(직전거래 23년02월 기준 +3.6억)
7위. [부산] 대연동푸르지오 83평 15.75억
(직전거래 20년08월 기준 +3.45억)
8위. [경기도] 판교호반써밋플레이스 50평 21.6억
(직전거래 23년01월 기준 +3.1억)
9위. [경기도] 과천센트레빌아스테리움 32평 13.35억
(직전거래 20년06월 기준 +3.05억)
10위. [서울] 서초포레스타5단지 41평 16.0억
(직전거래 18년08월 기준 +3.0억)
- 상승거래 전국 총 3052건
■ 아파트 하락거래 Top 10(일주일 기준)
1위. [서울] 개포우성1차 55평 38.2억
(직전거래 22년03월 기준 -12.8억)
2위. [서울] 반포주공1단지 43평 59.0억
(직전거래 22년05월 기준 -8.0억)
3위. [서울] 리버타워 78평 15.1억
(직전거래 21년07월 기준 -7.0억)
4위. [부산] 삼호가든 42평 10.7억
(직전거래 21년06월 기준 -6.15억)
5위. [서울] 반포리체 34평 27.45억
(직전거래 22년04월 기준 -5.85억)
6위. [서울] 로얄맨숀 57평 18.9998억
(직전거래 22년05월 기준 -5.8억)
7위. [경기도] 한강메트로자이3단지 39평 7.1억
(직전거래 21년10월 기준 -5.7억)
8위. [서울] 가락삼익맨숀 38평 14.5억
(직전거래 21년10월 기준 -5.3억)
9위. [서울] 현대동궁 24평 13.0억
(직전거래 22년05월 기준 -5.25억)
10위. [서울] 장미 24평 17.5억
(직전거래 22년04월 기준 -5.2억)
- 하락거래 전국 총 3560건
■ 주요 경제 지표
코스피 : 2,474(-0.13%)
코스닥 : 851(0.39%)
달러 : 1,317(0.52%)
나스닥 : 12,222(1.74%)
다우지수 : 33,274(1.26%)
S&P500 : 4,109(1.44%)
WTI(석유) : 80(5.54%)
GOLD(금) : 1,975(-0.55%)
비트코인 : 37,042,000(-0.69%)
이더리움 : 2,364,000(-0.46%)
리플 : 679(-0.88%)
■ 오늘의 명언
"되찾을 수 없는게 세월이니 시시한 일에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순간순간을 후회 없이 잘 살아야 한다." - 루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4-05 뉴스 + 오늘의 운세 (2) | 2023.04.05 |
---|---|
2023-04-04 뉴스 + 오늘의 운세 (2) | 2023.04.04 |
2023-03-31 뉴스 (14) | 2023.03.31 |
2023-03-29 뉴스 (2) | 2023.03.29 |
2023-03-28 뉴스 (4) | 2023.03.28 |